본문 바로가기

리뷰

주휴수당 조건 및 쉽게 계산하는 꿀팁

1주일에 15시간 이상 근무하는 근로자에게 꼭 지급되어야 하는 것, 바로 주휴수당입니다. 아르바이트생 등 근로자를 고용해본 경험이 있다면 공감하시겠지만 주휴수당 산정에는 약간 까다로운점이 있습니다. 찬찬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주휴수당을 지급하기 위해서는 충족되어야하는 조건이 있습니다. 먼저 앞서 설명한 것처럼 휴게시간 제외 일주일에 15시간이상 근무하여야 합니다. 또한 근로계약서에 약속한 근로일을 개근해야 하는데요, 이말인즉 근로계약서가 필수적으로 작성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근로계약서 미작성시 사업주에게 벌금 500만원이 부과되니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

 

 

주 40시간 이상 근로자의 경우, 하루치의 임금(즉, 시급*8시간)이 지급됩니다. 그러나 주 40시간 미만 근로자의 경우 주휴수당은 시급*8시간*(일주일 총 근무시간/40) 으로 산정됩니다.

 

2020년부터 일요일을 제외한 법정공휴일은 유급휴일로 의무 적용되어 있지만 5인 미만 사업장은 근로기준법상 유급휴일이 보장되지 않아 대체 공휴일 근무에 대해 사업주 재량에 맡기고 있다고 합니다.

 

 

2022년 최저임금은 9,160원입니다. 이에 간혹 사업주들 사이에서 주휴수당 지급이 부담스럽다는 의견도 나오는데요, 주휴수당은 근로자의 당연한 권리입니다.

 

근로자가 모든 기준을 충족하였음에도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에는 근로기준법 제110조에 따라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게 됩니다. 주휴수당 미지급 또한 임금 체불로 보기 때문에, 정당한 이유 없이 지급하지 않을 경우에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